치료클리닉

치료클리닉

허리 질환

허리 질환

우리 몸을 지탱해주는 기둥인 허리
허리통증은 누구나 한번쯤 경험하는 흔한 질환입니다.
대부분은 생활습관의 변화만으로도 증상이 좋아지는 단순 요통이지만,
15% 정도는 전문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허리 질환

허리디스크란?

허리디스크

디스크는 척추뼈와 뼈 사이에 있는 물렁뼈 조직의 구조물로 척추뼈가 움직일 경우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자연스럽게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입니다.

허리디스크는 무거운 짐을 옮기거나 교통사고 또는 물리적 충격에 의해 디스크가 본래의 자리에서 밀려나와 신경을 누르는 질환을 말하는 것으로 디스크가 신경을 누르게 되면 염증이 발생하면서 신경이 붓게 되고 통증이 나타납니다.

허리디스크를 유발하는 원인

허리디스크를 유발하는 원인 허리디스크를 유발하는 원인
  • 체크

    하루의 상당 부분을 의자에서 앉아서 보내는 경우

  • 체크

    일상생활을 할 때 비스듬히 기대어 앉거나 다리를 꼬고 앉는 자세가 습관이 된 경우

  • 체크

    무거운 물건을 들 때 허리에 무리가 된 경우

  • 체크

    등을 굽히고 구부정하게 서거나 군인 같은 차려 자세로 장시간 서있는 경우

  • 체크

    옆으로 눕거나 엎드려 자는 습관

  • 체크

    노화로 인해 낮아진 골밀도와 디스크의 퇴행

  • 체크

    교통사고, 낙상 등의 외부 충격

척추관협착증이란?

척추관협착증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척추관이 좁아지면서 신경이 눌려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주로 40~50대에 발병률이 높은 질환으로 나이가 들면서 뼈와 인대, 근육 등이 두꺼워지면서 척추관이 좁아져 신경을 압박하여 발생하는데, 드물지만 선천적으로 척추관이 좁은 경우도 있습니다.

고령화 사회가 되면서 척추관협착증 환자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로 허리를 많이 쓰는 직업, 무리한 운동, 좌식생활 등이 그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척추관협착증의 원인

척추관협착증의 원인 척추관협착증의 원인
  • 체크

    요추(허리뼈)가 퇴화로 인하여 가시처럼 자라나서 신경을 누르는 경우

  • 체크

    척추전방전위증에 의해 협착이 될 경우

  • 체크

    척추관 주변 염증에 의해 인대나 근육이 부어 신경을 누를 경우

  • 체크

    디스크 수술 후 수술로 인한 신경, 근육 유착이 생길 경우

척추전방위전위증이란?

척추전방위전위증

한 척추뼈가 다른 척추뼈 위로 미끄러지면서 전방으로 튀어나오게 된 상태를 말하며 이렇게 어긋난 척추뼈들에 의해 신경이 눌리고 인대가 늘어나면서 통증이 발생됩니다.

과도한 허리 사용, 퇴행성 변화에 의한 근육 및 인대 악화로 척추 후관절 불안정이 원인이 되기도 하며, 척추분리증에 의해 발생되기도 합니다.

척추분리증은 척추 마디를 연결해 주는 연결고리가 끊어져 척추가 따로 움직이는 것을 말합니다.
뼈가 불안정하게 흔들리면 척추뼈가 조금씩 앞으로 밀려나게 되고 척추분리증이 척추전방위증으로 발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척추전방전위증의 원인

척추전방전위증의 원인 척추전방전위증의 원인
  • 체크

    척추뼈의 퇴행

  • 체크

    외상 (교통사고, 낙마 등)

  • 체크

    척추분리증의 진행으로 인한 원인

척추전방전위증의 증상

척추전방전위증의 증상
  • 체크

    주로 허리 통증이 유발되며, 허리 주위보다 엉치가 더 아픈 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 체크

    허리를 뒤로 젖히거나 바로 누우면 요통이 발생됩니다.

  • 체크

    디스크 환자처럼 자세를 바꾸거나 움직일 때 다리 쪽으로 저리고 쑤시는 증상이 발생합니다.

  • 체크

    오래 걸으면 허리 통증이나 다리 마비 증세가 나타나며, 점차 허리를 숙이거나 엉덩이를 뒤로 빼고 걷게 되고, 앉아서 쉬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척추측만증이란?

척추측만증

척추가 좌우로 휘어지는 척추 변형으로 골반이나 어깨의 높이가 다르거나 몸통이 한쪽으로 치우쳐 보이는 것이 특징인 허리질환입니다.

성장기 소아 청소년들에게 많이 발생하며, 척추가 옆으로(대부분 우리나라 청소년은 S형으로 휘어짐)휘어지는 것을 말합니다.

한번 휘어진 척추는 성장기 동안 키가 크는 과정에서 그 각도가 점점 심해지게 되는데 발병 초기에 정확히 검진하여 30~40도 이상의 악성 측만증으로 휘어지는 변형을 막는데 초점을 맞추어야 합니다.

척추측만증의 원인

  • 기능성 측만증

    잘못된 자세, 생활습관, 편식으로 인한 영양 불균형으로 발생하는 경우

  • 특발성 측만증

    특별한 원인 없이 발생하는 경우로 전체 측만증 환자 비율의 70%를 차지

  • 선천성 측만증

    선천적인 척추 변형으로 인해 측만이 생기는 경우